목록금융위기 (3)
수다공작소
1. G2 시대; 중미전략경제대화(Strategic and Economic Dialogue) p50"서방세계가 마이너스 성장의 덫에 걸려 허우적거리는 데 반해 중국의 경제성장은 2009년 1분기에는 10.7%로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." 2. 중국의 미국발 금융위기 보호막은? ① 2조 4,000억 달러의 외환보유고 ② 금융인력의 국제화 수준 취약(서브프라임 관련 파생 상품에 대한 손실 2007년 이익의 2%에도 못 미침)) ③ 전체 국가재산의 76%가 정부재산(88.4조 위안); 정부가 직접 경제를 통제할 수 있음 ④ 관방경제 500대 기업의 70%가 국유기업 ⑤ 일당제; 정권의 안정 3. 트리핀의 딜레마 세뇨리지 효과: 화폐주조권의 특혜, 곧 국제통화를 보유한 나라가 누리는 이익 p62 "기축통화에..
2007년 말 미국발 금융위기 앞에 마이너스 펀드수익률을 기록했던 사람입니다. MBC 경제야 놀자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펀드놀이에 빠져있던 두 MC 조형기, 김용만조차 갑작스런 금융경색에는 속수무책이었습니다. 그 당시는 저는 모로코에 있었기 때문에 뭉칫돈이 생겼고, 다른 사람들처럼 분산투자방식으로 펀드 4개를 운용했습니다. 하지만 몇 달 만에 수익률 35%까지 올랐던 펀드들이 하루 아침에 비명행세를 면치 못했습니다. 결국 고수익 고위험이라는 금융계의 진리를 몸소 증명해 보인 것입니다. 이것을 계기로 저의 재테크는 큰 변화를 겪게 됩니다. 신문들은 너도 나도 '절약'이 가장 좋은 재테크 방법이라고 전했습니다. 저는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했었습니다. 이미 펀드에 크게 대인() 상태였기 때문에 다른 선택의..
2007년 말 미국발 금융위기 앞에 마이너스 펀드수익률을 기록했던 사람입니다. MBC 경제야 놀자 프로그램를 진행하면서 펀드놀이에 빠져있던 두 MC 조형기, 김용만조차 갑작스런 금융경색에는 속수무책이었습니다. 그 당시는 저는 모로코에 있었기 때문에 뭉칫돈이 생겼고, 다른 사람들처럼 분산투자방식으로 펀드 4개를 운용했습니다. 하지만 몇 달만에 수익률 35%까지 올랐던 펀드들이 하루 아침에 비명행세를 면치 못했습니다. 결국 고수익 고위험이라는 금융계의 진리를 몸소 증명해보인 것입니다. 이것을 계기로 저의 재테크는 큰 변화를 겪게 됩니다. 신문들은 너도 나도 '절약'이 가장 좋은 재테크 방법이라고 전했습니다. 저는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했었습니다. 이미 펀드에 크게 대인() 상태였기 때문에 다른 선택의 여지는..